목록Python (52)
Yours Ever, Data Chronicles

sample 함수는 파이썬의 내장 함수이다. 보통 어떠한 데이터프레임에서 랜덤하게 n개의 데이터(인덱스)를 뽑아야 할 때 사용한다. DataFrame.sample(n=None, frac=None, replace=False, weights=None, random_state=None, axis=None, ignore_index=False) n: 추출할 개수 frac: 추출할 비율, 1보다 작은 값으로 설정 (ex. 절반을 뽑는다면 0.5) n과 frac은 동시에 사용 불가능 replace: 중복 추출 허용 여부, True로 지정 시 중복을 허용하여 추출 weights: 가중치로, 레이블별 추출될 확률 지정 가능 random_state: 시드(seed)로, 원하는 숫자 지정 시 항상 같은 결과 출력 axis:..

저번 포스팅에 이어, 파이썬 판다스의 Series(시리즈)와 DataFrame(데이터프레임)을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는 유용한 메서드들을 정리하였다. 포스팅에서 사용한 코드는 이 깃허브에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 ✔Table of Contents 2. 시리즈 & 데이터프레임 다루기 (공통 기능) 2-1. 인덱싱(Indexing) 저번 포스팅에서 만들었던 math_df를 활용한다. math_df 시리즈는 데이터프레임의 한 열만 떼어내면 된다고 했었다. 예시로 score 열을 떼어 오겠다. # math_df에서 'score' 열만 떼면 -> 그것이 시리즈! a = math_df['score'] a # 시리즈의 인덱싱 시리즈에서는 index와 values 메서드를 제공한다. 두 메서드를 활용하면 인덱스와..

이번 포스팅과 다음 포스팅은 파이썬 판다스의 Series(시리즈)와 DataFrame(데이터프레임)을 사용할 때, 자주 사용하는 유용한 메서드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 먼저 시리즈와 데이터프레임이 무엇인지, 어떻게 만드는지를 알아보고 이 두가지를 다룰 때 어떤 메서드를 자주 사용하는지 알아보자! 이번 편은 시리즈와 데이터프레임이 무엇인지를 알아보자. 포스팅에서 사용한 코드는 이 깃허브에서 다운로드하시면 됩니다 :) ✔Table of Contents 1. 시리즈 & 데이터프레임 만들기 시리즈(series)와 데이터프레임(dataframe)은 데이터를 다루는 데 특화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먼저, 우리가 자주 보게 되는 데이터프레임(df)은 행과 열의 2차원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df에서는 열을 컬럼(co..

저번 포스팅에선 [수치형 변수 및 범주형 변수와 대여량 간 관계]를 시각화해보았고, 시간과 날씨 데이터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선 분기(season)와 workingday 및 holiday 변수들이 대여량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시각화해보았다. ✔Table of Contents 2) 범주형 변수와 대여량 간 관계(con't) 나머지 변수들인 season, workingday, holiday와 대여량 간 관계를 시각화한다. 2-3) season과 평균 대여량 간 관계 저번 포스팅에서도 말했지만, 캐글 데이터상으로는 season이 '계절' 로 나와 있으나, 사실상 '분기'로 봐야 한다고 했었다. barplot을 그려보면.. # 1,4사분기 포커스 fig, axs = plt.subplots(1,3, ..

데이터프레임을 다룰 때, 정말 자주 쓰이고 기본적인 기능인 인덱싱(indexing)과 슬라이싱(slicing)에 대해 알아보자. 데이터를 인덱싱할 때 기준은 1차원, 2차원 기준으로 설명하였다. 먼저 데이터는 seaborn에서 제공하는 기본 데이터셋인 titanic(타이타닉)을 활용하였다. import seaborn as sns df = sns.load_dataset('titanic') df.head() ✔Table of Contents 1. 1차원 인덱싱 먼저 1차원 인덱싱은 행만 인덱싱 or 열만 인덱싱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데이터가 연속된 경우는 콜론(:)을 사용해 인덱싱하며, 연속되지 않은 경우엔 괄호를 2개 쓴다. 열 인덱싱 열을 인덱싱하는 것은 아주 간단한데, 그냥 데이터프레임 뒤에 원하는 열..

저번 포스팅이었던 결측치 처리에서는 결측치가 얼마나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과, 결측치를 처리하는 대표적인 4가지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번 포스팅에선 번외편으로, 특정 열에 "결측치가 너무 많은 경우" 열을 drop(삭제)하는 방법에 관해 포스팅할 것이다. 즉, 특정 열에서 결측치의 값이 특정 개수 이상이거나, 특정 비율 이상이라면 drop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Table of Contents 참고로 코드를 한번에 다운받으려면 이 깃허브 링크에서 '4. 결측치 처리' 코드를 다운받으면 됩니다 :) import pandas as pd import seaborn as sns df = sns.load_dataset('titanic') df 저번 포스팅에서 마찬가지로 seaborn에서 제공..

✔Table of Contents 참고로 데이터셋과 코드 파일은 저의 깃허브에 올려두었으니 다운받으시면 됩니다! :) GitHub - suy379/python_for_DA: Python for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요한 파이썬 모음) Python for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요한 파이썬 모음). Contribute to suy379/python_for_D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1. 결측치 확인하기 데이터를 받은 후, 결측치가 얼마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결측치라는 것은 말 그대로 값이 없는 것으로, 이렇게 값이 없다면 일반 연산을 한다거나, 머신러..

이번 포스팅에선 데이터를 연결하는 방법(즉, 데이터 조인(join)시키는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데이터 분석을 하다보면 여러 개의 데이터프레임을 연결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깔끔한 데이터(Tidy Data)를 만들기 위해 꼭 알아둬야 하는 메서드이다. 이번 장에서는 판다스의 대표적인 data join 메서드 2가지인 concat과 merge에 대해 예제로 알아보자. (참고로 데이터셋과 주피터 노트북 파일은 이 깃허브를 참고하세요!) ✔Table of Contents 먼저 임의의 데이터 df1, df2, df3를 생성하였다. 이는 내가 임의로 만든 데이터로, 1반, 2반, 3반 학생들 3명의 시험 성적 데이터이다. import pandas as pd # df1: 1반 학생들(3명)의 시험 성적 a = [..

오늘은 python에서 문자열 데이터를 처리할 때의 꿀팁 중 하나인, 열 이름을 관리하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한다. 이 방법은 하나의 열에 여러 의미가 있는 경우, 이 열의 정보를 분리하여 새로운 N개 열로 만드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위와 같은 데이터가 있다고 하자. 이 데이터의 'variable' 열은 2가지 의미를 갖고 있는데, '_' 를 기준으로 왼쪽은 상태를, 오른쪽은 국가를 나타내고 있다. 그래서 'Cases_Guinea'라고 하면 'Cases'와 'Guinea' 이렇게 2개로 나누어 'status', 'country' 라는 열로 만들어주고자 한다. 이는 파이썬의 문자열 처리 메서드인 split와 get을 활용하면 바로 해결된다! 바로 알아보자. import pandas as pd ebola_..

오늘은 파이썬에서 데이터프레임(dataframe)을 가공하는 유용한 메서드인 pd.melt, pd.pivot_table에 대해 알아보자. 참고로 데이터셋&주피터 노트북 코드는 이 깃허브에 공유해두었습니다 :) GitHub - suy379/python_for_DA: Python for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요한 파이썬 모음) Python for Data Analysis (데이터 분석을 위한 중요한 파이썬 모음). Contribute to suy379/python_for_DA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Table of Contents 1. pd.melt pd.melt(dataframe, id_vars, 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