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76)
Yours Ever, Data Chronicles

투자가로 살아라(2021년 作) - 후지노 히데토 지음, 라이팅하우스 우연히 유튜버 희스토리님의 채널을 보다가 그분이 최근 이 책을 읽고 있다고 해서 읽게 되었다. 올해 7월에 나온 따끈따끈한 신간이라 도서관에 없어서 직접 새 책을 사서 읽었는데, 돈이 아깝지 않을 만큼 정말 잘 샀다고 생각하는 책 중 하나다.💖 그래서 12월 초에 한번 읽고, 지금 두번 째 읽고 늦은 독후감을 쓰고 있다. (좋은 책 소개해 주신 희스토리님께도 감사드리며..!) 특히 이 책은 투자의 열풍이 굉장한 지금 시대에 ‘투자가’ 가 되고는 싶지만 어떻게 하지?! 돈을 잃을 거 같은데?! 라며 걱정하는 나같은 사람들에게 투자 입문서로 아주 적절한 책이다. 그렇다고 주식이나 부동산에 차근차근 투자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책은 아니며, 주..

문영미 저, 2021.03.28 완독 저번 학기에 들었던 '경영학원론' 교수님께서 하신 이야기가 있다. 기업들은 자사 그리고 그들의 경쟁사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포지셔닝 맵을 그리고, 모든 분야(ex. 품질, 디자인, 가격 등)에서 뛰어난 곳에 위치하기 위해 최선을 다한다고. 모든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고, 끌어들이기 위해서 끊임없이 경쟁한다고 말이다. 하지만,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곳에 위치하여 1위 기업이 되고자 하는 목표가 오히려 기업들로 하여금 차별성을 잃게 한다. 그리고 교수님께서 추천해주신 책이 바로 이 '디퍼런트' 였다. 한번쯤 읽어보라고 하셨는데, 정말 재밌어서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읽었다. 그리고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이 책을 통해 알 수 있었다. :) (이 포스팅은 제가 ..

이번 마크다운 세번째 포스팅에서는 github readme를 수정하는 방법(참고: suy379.tistory.com/5)에 이어,2. 파이썬(python)- jupyter notebook의 마크다운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하는 방법3. R markdown을 이용하여 문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2. Python - Jupyter notebook에 마크다운 적용하기이 부분은 마크다운 첫 번째 포스팅에서 알려드린 방법들을 이용해 동일하게 적용하면 됩니다. 우선 쥬피터 노트북을 실행해준 후, 마크다운 편집기로 변경합니다. 보통 쥬피터 노트북에선 코드를 작성하고, 해당 코드의 제목 또는 부가 설명을 달 경우 마크다운을 사용합니다. 기본적인 마크다운을 사용하기 위해 #으로 헤더(Header)를 달고, 순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인 markdown을 배워보았던 첫 번째 포스팅에 이어서, 1. 깃허브(github)의 README.md를 마크다운을 이용하여 글을 작성하는 방법을 알아보고, 뒤이어 마크다운 세 번째 포스팅에서는2. 파이썬(python)- jupyter notebook의 마크다운을 이용하여 텍스트를 작성하는 방법3. R markdown을 이용하여 문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Github의 README.md 수정하기여러분이 깃허브의 레파지토리를 새로 생성하였다면, 기본적으로 해당 레파지토리의 README.md는 레파지토리 이름만 쓰여 있는 형태로 생성됩니다. 이 README 파일은 생성한 레파지토리가 어떤 데이터 or 코드를 담고 있는지를 이 레파지토리를 보는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역..

이번 포스팅은 Markdown(마크다운)에 대해 알아봅니다. Markdown은 쓰는 방식이 정해져 있는데, 한번 배워 두면 Github의 README.md, python jupyter notebook에서의 markdown, 그리고 R markdown에 모두 적용 가능하답니다. :) 구체적으로는, 글씨체, 헤더(header), 링크(link)삽입, 이미지 삽입, 인용구, 리스트, 단락에 대해서 배워봅니다. 이번 마크다운 포스팅은 Markdown Tutorial(www.markdowntutorial.com/kr/)을 참고하였습니다. 간단한 10분 실습이 가능하니, 마크다운에 대해 직접 경험해보고자 하신다면 한번 해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1. 글씨체: 이탤릭체(italics)와 볼드체(bold) 사용하기이탤..

안녕하세요! 오늘은 깃허브(github)에 코드를 올릴 때 깃(git)을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별로 어렵지 않은 내용이지만 처음 다룰 때 많이 헷갈릴 수 있는 부분이라(저도 그랬고) 깃에서 깃허브로 연동 시 자주 이용하는 명령어에 대해서 알아봅니다. 깃을 사용하는 것은 윈도우와 맥에서 차이가 있는데, 저는 윈도우 유저이기 때문에 윈도우를 기본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깃(git)을 다운받는다.먼저 Git for Windows(gitforwindows.org/)에 접속하여 깃을 다운받습니다. Download를 누르면 깃을 다운받을 수 있고 Git GUI, Git CMD, Git Bash가 다운로드됩니다. 저는 모든 설치를 디폴트로 설정하여 제 노트북의 C:\Users\user에 저장하였습니다. ..